조지아 와인이란 ?

본문 바로가기

조지아와인이란?

조지아 와인이란 ?

인류 최초의 와인 , 와인의 요람 
 

Georgian-Wine-CNN.jpg

 
조지아 와인의 수식어 들이다.
약 8천 년(기원전 6천 년)전 조지아에서 발명된 와인이 고대 로마에서 중국 서부까지 이어지는 실크로드를 통해 전파된 거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기원전 포도와 와인 관련 증거들
  기원전 6천 년 경 조지아는 포도나무를 농업 작물로 재배하고 와인을 양조하기 시작.
  최근 트빌리시(Tbilisi) 남쪽 유적지에서  발견된 고대 점토 항아리(크베브리 Qvevri 원조로 추정) 바닥에서
  주석산과 발견된 포도 씨가 그 증거인데,이 크베브리에는 포도나무를 묘사한 장식도 남겨져 있다 
  이는 조지아뿐만 아니라 세계 와인 발전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원전 4천년~2천 년, 즉 청동기 시대 전기와 후기 유물은 당시 다양한 모양의 작은 크베브리 항아리들이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대단한 발전을 이룬 조지아 와인 초창기 시절
시간이 흘러 기원전 8세기, 
한 그리스 역사 자료에 따르면, 당시 조지아는 콜치스(Colchis)로 불렸으며, '황금의 나라'로 알려졌으며
그리스인들이 조지아에서 만든 훌륭한 와인을 맛본 경험이 기록되어 있다.
심지어 기원전 3천 년 전 이야기를 담은 호머(Homer)의 일리아드(Iliad)에서도 콜키스의 와인이 언급된다.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King Aeetes)의 여동생이 오디세우스(Odyssesus)를 초대한 자리에서                                                                                                                                        
손님들에게 콜키스의 루비색을 띠는 와인을 은으로 만든 잔에 대접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철기 시대전기인 기원전 7세기에 현대적인 형태 크베브리가 탄생했다.
기원전 3세기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의 아르고나우티카(The Argonautica of Apollonius Rhodius)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콜키스로부터 황금 양털을 운반하면서 콜키스 궁전에 와인이 흐르는 분수대가 있고,                                                                                                                      
포도나무가 늘어선 길이 펼쳐지는 경이로움을 본 이야기를 적기도 했다.


*기원후 초기 조지아 와인
기원후 4세기 조지아가 국교를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와인과 포도는 종교의식과 대중의 생활방식에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된다.

*조지아 와인 황금기
10세기부터 13세기는 '조지아 와인 황금기'로 다양한 종류 포도가 개발되고 와인 저장고가 여럿 생겨났다.
몽골의 침략이 서서히 끝나가면서 조지아 포도 재배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새로운 와인 저장고들이 지어지고, 주변 국가와의 무역도 다시 시작됐다.

*19세기 조지아 와인
알렉산더 차브차바제(Alexsander Chavchavadze) 왕세자의 노력으로 유럽 스타일 와인에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1886년부터는  원산지 명칭 보호를 받는 PDO  와인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조지아의 유명한 와인 양조가인 자카리아 조르자제(Zakaria Jorjadze)가 와인 양조에 전통과 현대 기법을 결합해 조지아 와인 양조 수준을 높였다.                                                                      
그는 전통적 스타일 와인을 숙성할 때,전통 크베브리는 물론 오크통을 사용하는 와이너리를 만들었다 .
1880년대에는 현대 원산지 명칭 보호 와인의 원형인 첫 조지아 브랜드 와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890년대 초부터, 무쿠자니(Mukuzani),  치난달리(Tsinandali) , 와인들이 꾸준히 생산됐다.

*20세기 조지아 와인은 여러 와인 박람회에 참여했다. 이로써 유럽에 조지아 와인과 브랜디(Brandy)들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29년 정부 기관인 샘트레스트(Samtrest, 현재 국립와인국)가 설립되어, 조지아의 포도에서부터 와인까지 모든 공정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1991년 조지아는 소련으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선언했지만, 많은 동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그 당시 영향이 오래 남아 문화와 경제에 오랜 영향을 끼쳤다.                                                       
1993년~1999년 조지아 와인 역사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몇 년간의 풍작으로 인해 처음으로 조지아의 상업적, 현대적인 와인 양조장이 등장했다.

*2005년 이후,서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시기 조지아 와인 생산자는 대단한 창의성과 품질 향상을 꾀해 2007년 미국으로 와인 수출을 시작할 수 있었다.

 

 


 

 

쇼핑몰 전체검색